[학위논문] 북한 권력구조 변화에 대한 비교체제론적 연구 : 북한과 중국의 헌법 및 공산당 비교
...확보하려 했다는 점과 북한 주민들이 역사적으로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체제를 경험하지 못한 채 조선시대의 유교적 관습에 젖어 있었다는 점 그리고 일본제국주의라는 시대적 상황을 경험한 구성원이라는 점이다. 이는 북한 주민의 역사 인식 속에 북한의 김일성-김정일-김정은에 이르는 세습권력 체제에 대한 정신적 기반을 마련해 주는 역할을 하였고, 권력 교체과정에서
권력의
기반을 다지기 위하여 척신세력과 공신세력 교체를 병행하여 왔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북한 내부에는 정권교체를 위한 불만세력의 혁명 또는 이들을 지지하거나 동조하는 세력이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의 조건은 불충분하다. 따라서 북한에서는 혁명이 일어나지 않는다. 왜냐 하면, 북한에서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은 김일성 주도하 이미 일어났고, 북한체제에 대한 불만이 있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