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한반도의 평화와 북한 핵 문제
한반도의 평화와 북한의 핵 문제를 다룬 책이다.
#한반도 #평화 #북한 #핵 #문제 #김승국
[정치/군사] 당신이 모르고 있는 김정은의 11가지 딜레마
[당신이 모르고 있는 김정은의 11가지 딜레마]는 북한 김정은 정권이 안고 있는 총체적인 딜레마를 11가지로 묶어 현재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생활, 교통, 군대 등에 대해 소개한다. 2011년 이후 탈북자들이 말하는 생생한 북한 내부 실상을 통해 오늘날 북한의 현실을 간접 체험으로나마 느끼고 알 수 있게 해준다.
#김정은 #딜레마 #북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생활 #교통 #군대 #김승철
[통일/남북관계] 한반도 중립화
이 책은 국방과 안보에 대해 다룬 정치서이다. 평화와 통일의 지름길와 한반도 중립화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다.
#한반도 #중립화 #평화 #통일 #부산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강종일 #김승국 #양재섭 #이재봉 #임상우 #정지웅
[사회/문화] 세계의 옷공장, 북한
이 책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가 무시되고 있는 현실을 구체적으로 폭로한다. 유엔 안보리가 2017년 9월 11일 채택한 대북제재 결의 2375호에 따르면 북한산 섬유제품을 매매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2018년 한국의 대기업 CJ가 홈쇼핑 TV채널인 CJ오쇼핑과 인터넷 쇼핑몰(CJmall)을 통해 평양산 의류 제품을 판매한 사실이 드러났다. 저자는 제품 의뢰 단계에서부터 최종 판매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샅샅이 추적함으로써 이를 확인했다. 저자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사진과 문건, 증언 등 다양한 증거를 통해 의류 제품을 어떻게 평양에서 만들어 국내에서 팔게 됐는지 공개한다. CJ의 평양산 제품 판매 루트를 추적하는 과정에 저자는 한국과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세계 각국 기업이 북한산 의류 제품을
#북한사회 #북한경제 #북한산업 #김승재
[학술논문] 남북의 정서적 연대와 통일문화콘텐츠 개발방향
이 글은 남북의 정서적 연대를 통한 통일문화콘텐츠 개발방향에 대하여천착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남북의 정서적 연대와 통일문화콘텐츠가갖는 의미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문명사적 차원에서 공동체와 개인의 주체성의 합일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관을 담은통일문화콘텐츠 구현은 실로 전세계에 새로운 가치관을 제시해주는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문화콘텐츠의 범주는 대단히 넓으며, 그 실현방법도 한반도 정세의 변화에따라 대단히 차이가 많을 것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 검토한 구체적인 통일문화콘텐츠 개발방향 논의는 다음과 같이 한정하였다. 첫째, 남한만의 시도가아니라 남북한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따라서 남한의 지자체에서 시도할 수있는 통일관련 콘텐츠 개발 제시나 탈북민을 대상으로 하는 논의는 검토대상에
#정서적 연대 #통일문화콘텐츠 #창작소재 #쌍방향 개발 #공감 #김기덕 #김승
[학술논문] 서울 도시녹지 가치 추정: 위계선형모형을 적용한 주택특성가격 분석
도시민의 도시녹지 생태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이들에 대한 접근성이나 경관에 대한 가치 추정 또한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의 이질적 자연 환경 즉;한강;일반산림;북한산에 대한가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서울의 대표적 주거 형태인 아파트에 대한 실거래가격을 취득하여 주택특성가격분석을 시행하였다. 과정에서 집합건물의 특성상 동일한 위치 정보와 동일한 주택특성을 가진 다수의 거래자료로 인하여 거래가격에는 공간종속성;설명변수에는 위계적 구조가 발생하였다. 이의 해결을 위해 공간시차 변수 추가;동일 주택 특성별 데이터 그룹화;위계선형모형의 적용이 고려되었고;주택 특성별 그룹화 거래자료에 2수준 임의절편 선형모형을 적용할 때 주택특성가격모형 오차항의 공간종속성이 통계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수준으로 감소함을
#도시녹지 #위계선형모형 #주택특성가격 #녹지접근성 #조망가치 #정혜경 #윤성도 #김태균 #김승규
[학술논문] 경합하는 ‘혁명전통’ -북한 초기 역사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이해와 재구축-
...탈락한 민족해방운동사 이해에 주목한다. 최창익ㆍ리청원 등이 주도한 초기 역사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서술에서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외에도 조선공산당과 조선독립동맹 등 복수의 ‘혁명전통’이 인정되었다. 다만 김일성의 투쟁에 정통적 지위를 부여한 점에서 이들의 역사인식이 현실 정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는 리상조ㆍ 김승화와 같이 소련으로 망명한 인물들이 남긴 기술과 비교하면 더욱 명확해진다. 최창익과 함께 1956년 반김일성운동에 가담한 리상조와 김승화는 망명 후 남긴 글에서 김일성 항일무장투쟁의 오류와 한계를 스스럼없이 비판하는가 하면, 여러 민족해방운동 중 하나로 주변화시켰다. ‘유일혁명전통’이 확립되지 않은 시기 민족해방운동사에 대한 인식 차는...
#북한 역사학 #민족해방운동사 #최창익 #리청원 #리상조 #김승화 #조수룡
[학술논문] 북한 상수도의 발전과정
It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how the water supply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North Korea. Articles published in the Rodong Newspaper (North Korea official newspaper) were mainly reviewed for this purpose.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development of the water supply system in the North Korea was affected by their socioeconomic situations. Their water supply development was categorized into
#북한 #상수도 #발전 #노동신문 #김승현 #신종대
[학술논문] 법령으로 살펴본 북한의 상수도 체계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orth Korea water supply system. For this purpose,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the North Korea water util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water supply system of North Korea is similar to that of South Korea.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systems lies in the national water supplier: South Korea has the national water supplier
#상수도 #북한 #법률 #명령 #김승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