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쟁과 혁명의 수사학이 다다른 자리 : 남북문학예술연구회 엮음, 『전쟁과 북한 문학예술의 행방』, 역락, 2018_남북문학예술연구회 엮음, 『전후 북한 문학예술의 미적 토대와 문화적 재편』, 역락, 2018
...혁명을 위한 북한 인민과 인민병사들의 고상한 애국주의와 희생정신, 북한을 도운 소련과 중국의 국제주의가 어떻게 펼쳐지는가도 객관적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전후 북한 문학예술의 미적 토대와 문화적 재편』이다. 이 책의 핵심어는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공산주의의 전망’이다. 논자들은 전쟁 후 KAPF계열 및
남로당계 문인들의 숙청 과정과 그 까닭을 집중적으로 파헤친다. 주된 방법은 문학잡지의 향방을 밝히는 한편 해당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삭제의 원인을 구명하는 것이다. 또한 공산주의 전망 문제를 여성의 교양과 전쟁고아 양육 문제, 음악계의 탁성 제거 및 시인 백석의 문학과 숙청 상황을 통해 조망한다. 사회주의아래의 아동문학과 과학소설의 발전에도 눈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