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중조 국경도시 단동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때로는 허물어진다. 국경과 관련된 네 집단의 삶도 그런 모습을 보여준다. 그들은 네 집단의
관계맺음을 통해서 국경 만들기와 허물기에 동참하고 전략적으로 선택한다. 나아가 단동 국경지역은 동북아(중국, 북한, 한국)의 역학 변화, 북·중 혹은 남·북의 정치·경제적
관계, 한·중 역사논쟁(동북공정과 국경), 북한(대북정책)과 한반도 통일, 정체성(국민과 민족), 한국 전쟁에 대한 기억과 재현 등에 깊이를 제공할 수 있는 내용들이 산재되어 있다. 따라서 단동 연구는 국경을 ‘연구 현장’에서 ‘연구 대상’으로의 위치
재정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단동의 사례는 현재의 국경에 대한 시각을 국경 강화 또는 약화라는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