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정치극의 전개 양상 -1920년대부터 80년대까지의 정치극운동을 중심으로-
...‘열린 퍼포먼스’를 시도했다. 또 노동자 농민의 생활현장에 파고들어 그들의 문제를 연극화했고, 언론이 검열 때문에 제 역할을 하지 못하던 시대에 미디어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5공 시대에는 민족, 민중 담론에 역사 담론이 결합되었고, 마당극은 실내마당극으로도 외연이 확장되었다. 또 정치적 메시지 전달에 치중한 언어 위주의 정치극을 탈피하여 표현방식의 미학적 탐구에 치중하는 변화를 보인다. 민주화 시대가 열린 87년부터 90년대 초반까지의 연극계는 정치극의 대 유행 시대였다. 금기였던 민감한 정치적 소재와 진보적 주장들이 거침없이 다루어졌으며, 양식과 미학 실험에 주력한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정치적 금기의 해방과 민주화로 인한 투쟁의지 상실, 정치소재의 상업주의적 이용, 마당극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