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조선: 한조관계의 역사·이론·방향 - 남북관계의 종식을 위하여
...역시 전통 한국은 주권과 독립의식이 매우 높은 ‘역사적 국가’, ‘반주권국가’(半主權國家. semi-sovereign state)로서 이론과 현실 모두에서 사실상의 주권국가로 이해되어야한다. 따라서 근대로의 진입 시기의
민족주의 역시 민족이 국가를 형성한 경로가 아니라, 국가가 민족을 호명한 유형에 해당한다. 근대적 국민적
민족
주의의 유형이었던 것이다. 이는 근대 한국의
민족
주의를 저항적 식민적
민족
주의로 이해하던 것과는 크게 다른 것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근대 이후 ‘한국’담론 계열과 ‘조선’담론 계열에서는 주권 회복을 위해 각기 다른 두 개의 민족, 즉 한민족과 조선민족을 안출하고 호명하는데, 그리고 대결하고 적대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