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강점기 만주행 作家들의 내면과 心象地理 - 백석과 이효석의 러시아에 대한 동경을 중심으로
...공간으로 상상되었다. 당시
러시아
문학의 유입과 사회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러시아는 식민지 조선의 폐색된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탈출구이자 자유의 공간으로 표상되었다. 정서적‧지리적으로 러시아에 대한 친연성을 지녀온 관북인들은 북방의식 혹은 북방적 상상력으로 명명되는 문학사적 흐름을 형성하는 데 기여해왔으며, ‘북국’에 대한 그들의 정서적 편향은 조선작가들의 만주(기)행을 추동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본고는 백석과 이효석을 중심으로 조선에서 형성되었던 러시아에 대한 동경이 일제강점기 조선작가들의 만주(기)행을 추동하는 하나의 원인이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러시아
문학의 세례를 통해 러시아에 대한 동경을 가졌을 것으로 짐작되는 백석은 러시아어를 배우고
러시아
문학작품 번역을 준비하기 위한 공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