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Gelberg-Andersen의 행동모형 적용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2015년 현재 만20세 이상 북한이탈주민으로 대구, 울산, 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자를 편의표집하여 Chew 의 16
문항 HL 척도를 포함한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접조사를 시행하여, 최종 228부를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정보이해력은 5점 척도 기준, 2.77 이었고, 이를 선행연구(손연정·송은경, 2012)의 연구결과에 조응시켜 해석하면, 적절-경계-부적절수준 영역구분에서 경계범위 위치함을 발견하였다. 회귀
분석결과 이러한 북한이탈주민의 HL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성별, 북송경험, 사회적지지, 입국 후 종교유무, 30 분이상의 주별 운동횟수 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