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미디어스피어(mediasphere)의 진화와 프로파간다(propaganda) -포스터 생산의 지속과 변화를 중심으로-
...교양과 오락이 혼용된 매체로서 서로 다른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북한의 인쇄문화는 문학작품이나 신문의 보도, 예술작품과 연동되어 북한 사회를 전방위적인 프로파간다의 일상화를 구성하며 서로 촘촘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포스터의 생명력 역시 이러한 구조 속에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비디오스피어의 단계인 TV 시대를 거쳐 디지털
미디어의 시대에도 포스터는 쇠퇴하지 않고 공진해 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전통적인 포스터 제작과 역할을 축소시킬 수 있는 환경에도 불구하고, 현장성을 높인 ‘직관선동’이라는 퍼포먼스의 창안과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콤퓨터 선전화’의 혼종화된
경관은 북한 프로파간다의 새로운 지형을 구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