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후 8년간 최명익과 그의 문학, 1945.8~1953 - 중간파적 경향과 애국주의 선전을 중심으로
...한국전쟁 기간 최명익의 문학을 살펴보고, 1953년 초
박헌영 계열 문학자들이 숙청될 때 같이 경고를 받은 이유를 조명하겠다. 해방 직후, 최명익은 특정 이념을 추구하지 않는 ‘중간파’를 표방하고 평양예술문화협회를 결성하였지만, 토지개혁을 지지하고 북한에 인민민주주의 국가가 수립되는 것에 협조하였다. 또한 최명익은 김일성을 새 국가의 지도자로 인정하고, 일제 말과 해방 후 국가 건설기에 북한 주민들이 발휘하는 애국심의 고무자라고 선전하는 북한 문학의 노선을 따랐다. 그러나 한국전쟁 기간, 최명익은
박헌영 계열 문학자들과 협력하였으며, 「기관사」(1951)와 같은 소설에서 인민민주주의와 조선로동당을 애국심의 원천으로 강조하는 등
박헌영의 노선을 따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명익은 195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