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일을 사례로 한 한반도 사회복지제도의 통합에 관한 연구
...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대량 이민에 대한 응급적인 거버넌스와 실업에 대한 준비가 우선 시급한 과제이며, 장기적으로 소득보장, 의료보장,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 및 통일재원마련 등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준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통일이 현재의 대한민국이 당면한 많은 문제에 어떤 작용을 할지에 대해서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불가능하다. 분명히 통일로 인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상당한 시행착오를 겪을 것이다. 하지만 통일은 저출산 등 많은 문제의 해결과 선진 복지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줄 것이다. 나아가 2,400만 명의 북한 주민들이 수십 년간 지속된 봉건적이고 퇴행적인 독재를 청산하고 안정적인
법치
국가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복지를 향유하면서 살 수 있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