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기 북조선 시문학사의 재구성에 대한 연구
...1940~1950년대 북조선에서 호명되었던 ‘해방기 대표시’는 무엇일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했다. 북조선에서 출판된 1940~1950년대 저작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었던 시는 정문향의 「푸른 들로」(1946)와 조기천의 「백두산」(1947)이었다. 조기천의 서사시 「백두산」은 1947년에 『로동신문』에 연재된 후, 지속적으로 개작과 재개작의 과정을 거치면서, 현재 ‘해방 후 수령형상문학의 새로운 단계를 열어놓은 의의 있는 작품’으로 재평가 받고 있다. 정문향의 서정시 「푸른 들로」도 여러 번 개작되었는데, 현재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로 재해석되고 있다. 또한 북조선 문예학자들이 공동집필한 최초의 조선문학사에 해당하는 1950년대 『조선 문학 통사(하)』(1959)에서도...
[학술논문] 애정과 영웅- 황건의 [행복]의 창작과 평가의 부침에 대한 연구 -
...두 작품에 대한 평가가 역전되면서 『행복』은 사라졌다가 유일사상체계가 구축된 후 복원된다. 1950년대 애정 문제에 대해서 논했듯, 『행복』은 1990년대 다시 애정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서 평가되면서 위상이 상승하지만 ‘전쟁기 소설문학의 성과를 보여 주는 대표작’으로 호명된 「불타는 섬」의 평가를 넘어선 것은 아니다. 이런 사실은 ‘애정 윤리’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지만 여전히 ‘영웅주의’라는 북조선 문학의 근본적 관점을 넘어설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지속적으로 영웅을 호명하고 전쟁에 대해 이야기할 수밖에 없는 북조선 문학의 현실을 반증하는데, 이는 영웅 없는 시대에 끊임없이 영웅을 창조할 수밖에 없는 북조선 문학의 난제가 놓여 있다.
[학술논문] 재일동포문학의 남북갈등과 화해 -이회성, 양석일의 소설 다시 읽기
...자식과 동포들에게 남겨준 것은 이념을 떠난 인간적인 교류와 이를 바탕으로 한 화해라는 유산이었다. 양석일의 「제사」는 주인공이자 관찰자인 ‘나’가 육촌형의 안내로 친척 아저씨의 제사에 참석했다가 민단 계열의 친척과 조총련 계열의 친척이 서로 반목하고 대립하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이들의 대립을 보다 못한 친척 박씨가 자신은 남한도 북조선도 모두 싫다며 일상생활은 물론 가족 간의 관계에까지 영향력을 행사하는 분단체제에 대해 비판을 가한다. 아울러 남북갈등은 칼로 물배기 같은 부부싸움 같은 것이며, 이 같은 남북대립을 우스꽝스러운 해프닝으로 묘사하고 있다. 1994년 발표된 양석일의 장편소설 『밤을 걸고』는 모두 2부 13장으로 구성된 피카레스크소설이다. 작품의 주요 내용은 오사카병기제조창에서...
[학술논문] 창조품과 기성품 -황건의 「불타는 섬」의 창작과 개작에 대한 연구-
...추가하여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를 창출한다. 즉, 이 작품은 영웅주의 또는 대중적 영웅주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1950년대 판본의 개작이 이루어진 반면, 유일사상체계가 성립된 후 판본에는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일부 수정된다. 따라서 이런 개작 문제는 북조선 체제가 문학에 요구했던 사항을 점검할 수 있는데, 황건의 「불타는 섬」은 1950년대 중반 영웅주의나 대중적 영웅주의를 강조했다는 것을 말해주며, 유일사상체계가 구축된 후엔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를 강화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그런데 이 작품의 개작에서 보듯, ‘문학’에서 ‘역사’에 강조점을 찍음으로써 북조선 문학은 ‘창조품’이...
[학술논문] 북조선 문학예술 연구의 동향과 첨언
지금까지 북조선 문학예술에 대한 연구는 여러 지평을 넓혀왔다. 하지만 북조선의 원본 자료 수집의 한계나 북조선 문학예술이 갖는 이념적 편향성 때문에 과거에 비해 상당히 위축되어 있는 것도 또한 사실이다. 마치 유행처럼 북조선 문학예술에 열광했던 때도 있기는 있었지만, 이젠 북조선 문학예술은 철따라 가끔 언급되는 잊혀진, 또는 주변부 문학예술로 남아 있는 듯하다. 이런 지금의 현실에서 북조선 문학예술을 연구한 의미 있는 2권의 저서가 출간됐다. 바로 김정은 시기 북조선 문학예술 연구의 한 성과인 『3대 세습과 청년지도자의 발걸음』과 북조선 문학사 연구의 한 성과인 『북한의 우리문학사 재인식』이라는 공동 결과물이다. 해방 후 북조선 문학예술의 정리 또는 정전화 작업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