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초ㆍ중ㆍ고등학교 국어교육 통합을 위한 기초 연구 : 통일 대비 단계의 국어과 교수·학습 내용 선정 및 수업 분석을 중심으로
...봄으로써 통일 이후 국어교육 통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남북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북한 이탈 청소년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고, 북한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북한 이탈 청소년 대안 학교를 참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 대비 남북한 학습자를 위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활용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제 수업을 실시하고, 수업 장면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학습자 반응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가 수업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크게 ‘언어적 차이 및 국어의식의 차이 인식 측면’, ‘통일 대비 국어교육 통합을 위한 수업...
[학술논문] 탈북학생 대상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 방안
본 연구는 통일 대비 국어교육을 준비하는 일환으로 탈북학생용 국어 교과서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탈북학생용 국어 교과서 개발 작업을 위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분단 70년간 서로 달라진 남한과 북한의 언어 이질화 양상 및 학습자 대상인 탈북학생에 대한 이해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분단 이후 달라진 남한의 표준어와 북한의 문화어의 차이와 남한과 북한의 국어교육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목표와 내용, 방법 면에서 검토하였다. 아울러 탈북학생의 국어과 학업 성취 특성과 탈북학생 및 지도 교사를 대상으로 한 FGI를 통해 앞선 연구들을 통해 확인된 탈북학생의 국어과 학업 성취 특성을 보완하고 보다 현실적인 교과서 개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고에서는 통일 대비 탈북학생용...
[학술논문] 국어교육의 북한어 이해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This study reviews curriculums and textbooks used in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language currently implemented in language education of Republic of Korea, or simply South Korea, in preparation of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Presently, in the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language, the education for reunification being conducted based on integrated curriculum of low
[학술논문] 다문화시대의 한국어 통일과 국어교육의 과제 - ‘한국어사회’와 ‘한국어 공동체’의 개념 수립을 기반으로 -
...‘한국어사회’로 인식하고 언어 통합의 기반으로 ‘한국어 공동체’ 개념을 수립하였다. 한국어를 사용하는 이들을 ‘한국어 서클’로 모으고, 더 나아가 한국어를 사용하거나 배우는 모든 이들을 ‘한국어 다양체’로 보며, 이들 집단을 ‘한국어 공동체’로 규정한 결과다. 여기에는 북한동포 및 연변의 조선족과 러시아 까레이스키 등으로 대표되는 ‘한국어족’ 및 타국의 한국어 사용자와 학습자도 포함된다. 이런 ‘한국어 공동체’는 한류의 문화적 전파에 따라 높아진 한국의 위상과 이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에도 필요한 개념이다. 이는 ‘한국어 다양체’를 서로...
[학술논문] 통일한국에 대한 문학교육의 대응
...통일을 대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서 이를 알 수 있다. 개별 교과 차원에서의 통일 교육 논의는 객관적인 지식체계를 지향하는 교과보다 사회․윤리 등 이데올로기적 교과들에서 활발하게 일어났다. 북한의 경직된 이데올로기에 대한 극복이 통일시대, 사회 및 윤리과목 교육의 핵심적 과제 중 하나가 될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국어교육에서는 북한교과서를 통해 북한교육의 경직성을 고찰, 비판한 연구, 교육이념과 목표, 내용과 체제, 교육 방법 차원에서 남북한을 비교하거나 남북한의 국어교육정책 방안을 제시한 연구 등에서부터 시대별 국어교육의 변화 양상, 특정시기의 우상화와 관련한 문학교육 내용 등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통일한국 시대 문학교육의 방향은 ‘이해’에서 ‘소통과 통합’으로 목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