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과 과제(1) -지난 50년간의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불균형을 극복해야 한다. 중국, 미국 등에 집중된 연구 경향을 벗어나 소외된 지역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특히 이주 시기별, 정착 지역별, 이동 경로와 원인에 따른 특수성에 주목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둘째, 재외동포 관련 담론의 외연이 확장되어 가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내 거주 귀환 동포에 대한 연구는 다문화 가정, 이주 노동자, 결혼이민자,
북한 이탈 주민, 귀국학생, 중도입국 학생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도 맞물리게 된다. 셋째, 교육과정, 평가, 프로그램 등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넷째, 아동 대상 연구에 치우쳐 있다는 점, 다섯째, 발음, 문법, 담화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도 해결해야 할 일이다. 마지막으로, 학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의 자세가 필요하다. 교육학, 어학, 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