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대가정론의 변용과 정치적 함의
북한의 대가정론은 주요 통치담론 가운데 하나다. 대가정의 출발점은 마르크스의 논리에 근거한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에 의해서 형성된 기존 가족제도를 해체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 소련 등은 과거 마르크스의 논리에 따라 가족제도의 변화를 시도했다. 그러나 이들 국가는 마르크스가 지향했던 구성원들의 공동체가 아닌 가족국가로 나아갔다. 오히려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는 핵가족화로 진행되었다.
북한도 체제 초기부터 기존 가족제도의 변화를 추구했다. 가부장제를 약화시키고 여성해방을 통해 가족해체를 시도했다. 김일성체제가 견고해지는 1970년대 이후, 대가정론은 가정혁명화와 사회
정치적
생명체론과 연결되면서 가족국가의 성격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대가정론은
북한체제 유지에 긍정적인 기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