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냉전(사)의 세계 시간과 지금·여기의 문화연구 -2010년대 이후 한국문학 발(發) ‘냉전문화’ 연구 경향을 중심으로
이 글의 목적은 새계적 냉전연구의 흐름 속에서 2010년 이후 한국문학 발(發) 냉전문화 연구의 경향을 비판적으로 되돌아보고 그 독특한 특징을 기술하는 가운데 향후 과제의 방향을 전망해 보려는 것이다. 1990년대 초반 글로벌 차원의 냉전이 종식된 이래, 서구 학계에서 냉전연구는 냉전사 연구로 전환되었다. 기존의 냉전연구와 달리, 냉전사 연구는 두 가지 특징을 지니는데, 첫째 미국과 소련의 양대 강국 중심에서 제3세계를 주인공으로 기술하는 지역적 전환(global turn)이 이루어졌다. 들째, 국가 간 외교·군사 정책을 넘어서서 다양한 행위 주체들의 실천에 주목하는 ‘문화적 전환(Cultural Turn) 역시 함께 진행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경우 제3세계 분단국가로서 세계적 냉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