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공간구조와 이념적 표현의 도시 계획
...선전도구이면서, 주체사상의 영향으로 서구적 특징과 북한적 특징이 결합되었고, 김일성과 김정일 부자의 개인적 ‘의도’와 ‘취향’까지 반영되었다. 한편 통일 이후 평양의 지리적‧정치적 위상을 고려할 때, 세종시의 존속에 대한 논쟁도 일어날 수 있다. 북한의 주민은 크게 3개, 작게는 51개로 구성된 신분계층 체제에서, 불만을 표출하기보다는 신분상승에 목표를 둔, 체제순응적 주민이 되었다. 한편 1990년대 이후 출생한 ‘장마당 세대’는 북한 체제에 도전적인 계층이면서,
비공식적인 도시개발의 협력 계층이다. ‘장마당 세대’는 남한주도의 통일 이후에는 자본주의 체제에 가장 빨리 적응하고, 북한의
경제발전을 주도할 계층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