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민 ‘여’배우의 탄생 - 해방-전쟁기 문예봉의 활동에 대한 소고
...속 문예봉의 이미지가 해방 후 어떻게 반복, 변주되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문예봉은 월북 이후 매체 기고를 통해 북로당의 입장을 적극 강변하면서 강도 높은
사상성을 피력하는 동시에, 스크린 위에서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인고하는 병사의 연인이나 헌신적인 어머니 역할을 맡으며 기존의 스타 이미지를 이어간다. 이 과정에서 조선인 지원병 대신 인민 혁명군의 연인으로, 황국신민을 꿈꾸는 소년 대신 빨치산 소년의 어머니로 등장하며 과거의 이미지를 변주해 갔다. 그런데 북한 체제는 영화 속 문예봉의 연기와 관련해 신파성의 탈피, 해방 후 현실 생활의 체험, 정치성과
예술성의 조화 같은 이전과는 다른 역할의 형상화를 요구했다. 문예봉은 김일성 등이 내린 평가를 즉각적으로 수렴하는 동시에 적극적인 자아비판을 시작했고, 이어 사회주의체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