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소재 영화 콘텐츠는 사회적 거리감을 완화하는가 정치성향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통일 관여도’가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북한 소재 영화 콘텐츠의 지각된 특성인 ‘정보성’과 ‘흥미성’, ‘관계성’, ‘동질성’, ‘
사실성’ 모두 높게 인식했다. 이 가운데, ‘흥미성’, ‘관계성’, ‘동질성’, ‘
사실성’은 지속이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정보성’은 영향을 주지 못한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속이용의도는 북한 및 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속이용의도와 사회적 거리감 완화 관계에서 정치성향은 조절효과를 주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