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을 역사화하기 — 국가사회주의, 인구이동, 그리고 냉전사학
...중국, 동독 같은 다른 사회주의 국가와 함께 비교사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국가너머의
사회적 구성력(constitutive power)을 북한사 서술에 포함시키는 방법을제안해보고자 한다.
사회적 구성력의 한 사례로 이 글은 인구이동에 주목한다. 일본 제국 해체를 기점으로 시작된 사람들의 이동은 항상 한반도의 두 국가 간 정치적 문제가 되어 왔다. 많은 역사학자가 인구이동 문제에 관심을 가져왔지만, 이연구들은 북한 정권이 생산한 자료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때문에 북한 정권에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에도, 북한에 대한 역사 서술은 북한 정권이 개인숭배를 목적으로 만든 주요한 가정을 역사학적 분석틀 내에서
재생산하고 말았다. 그결과, 북한 국가는 희화화되어 묘사되고 있다. 이 글은 북한의 다양한 대중매체를활용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