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와 적응 지원방안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 응답자들이 현재 다니고 있는
교육기관의 형태는 인가된 대안학교가 가장 많았고, 한겨레중고등학교, 미인가 대안
교육시설 순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이 겪고 있는 현재 생활의 어려움은 경제적 어려움이며, 그 다음으로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 정신적 어려움,
상담자 부재, 자살 생각, 주위 시선이나 차별, 숙식해결의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 조사 결과, 학습 또는 진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멘토가 90.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진로 탐색을 위한 체험(89.4%) 입시 및 진학정보 제공(86.1%) 봉사활동 기회 제공(84.1) 직업
교육 훈련(83.4%) 등 자신의 미래와 관련된 부분들이높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