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遼東~西北韓地域의 細形銅劍文化와 古朝鮮 -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과정과 관련하여 -
...합구식 옹관묘 등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전국말~전한초의 위만집단과 관련된 요소들일 가능성이 있다. 위만조선 최고 지배층은 철제무기와 거마구로 정치적인 권위를 표현하였는데, 거기에는 燕系와 漢系의 전통이 섞여 있었으며, 이후 匈奴系 문물까지 수용하여 대외 교류의 정점을 이루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낙랑 초기 자료에는 위만조선의 물질문화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고조선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들은 주로 한반도의 세형동검문화에 집중되어 왔다. 고조선의 중심지 이동설을 고려하면 요동지역의 세형동검문화 요소들이 서북한지역에 출현하는 양상들이 주목된다. 또한 서북한지역에서 요동계와 한국계의 세형동검문화 요소들이 복합되며, 이와 함께 燕․秦․漢系 철기문화 요소들이 추가되는 것이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학술논문] 遼東∙西北韓의 初期鐵器文化와 衛滿朝鮮
...기원전 2세기 전반에 西北韓 南部에도 農器具와 工具의 일부 器種이 보급되는 사실이 무덤의 副葬遺物을 통해서 확인된다.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劍, 矛 등의 武器도 소량 보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2세기 후반에 劍, 矛, 戈 등의 무기가 遼東은 물론 西北韓에도 보급되었을 것이다. 기원전 2세기말 鍛造方式으로 제작된 鐵劍의 경우 長劍은 遼東, 短劍이 西北韓 지역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기원전 1세기 전반에 鐵製長劍이 遼東은 물론 西北韓 南部지역에서도 널리 제작 보급된다. 이를 종합하면 대체로 遼東- 西北韓의 일정 공간에 자리 잡은 기원전 2세기대에 요동과 서북한에서 農器具와 工具는 물론 鐵製 武器의 보급과 제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지리적으로 볼 때 衛滿朝鮮을 요동과 서북한에 걸쳐 있다고 하면...
[학술논문] 中國 東北地域의 靑銅器文化와 古朝鮮의 位置 變動
...심양·요양지역의 鄭家窪子類型을 古朝鮮과 관련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요동반도의 崗上類型을 “發”로 비정하였다. 기원전 1000년기 후엽에 이르면, 중국 동북지역의 琵琶形銅劍文化에는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다. 가장 큰 변화는 中原文化의 확장과 琵琶形銅劍文化의 급격한 쇠퇴 및 變形琵琶形銅劍文化로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요동지역의 變形琵琶形銅劍文化는 요동반도 ‒ 심양지역의 尹家村類型, 요동 북부 ‒ 서북한지역의 上堡類型, 길림성 중부의 西荒山屯類型으로 구분된다. 尹家村類型은 중원문화적 성격이 강하게 가미된 점을 감안하면, 戰國~秦·漢代의 遼東郡과 관련될 것이다. 그리고 재지적 성격이 강한 上堡類型과 西荒山屯類型은 각각 秦開 침입 이후의 古朝鮮 및 衛滿朝鮮, 그리고 扶餘와 관련될 것이다.
[학술논문] 서북한지역 각형토기문화 연구의 변천과 검토
본고는 서북한지역 청동기시대 각형토기문화에 대한 학사적 검토와 편년논리의 과정을 다루었다. 또한 각형토기가 출토된 새로운 유적자료를 검토하여 시・공간적인 위치를 가늠하고자 한다. 우선 북한의 고고학은 도유호에 의해 방법론적 틀이 확립되었다. 그는 고고학적 해석방법, 시기구분, 발굴조사 등 초기 북한고고학의 성립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현재 북한은 물론 남한지역의 초기고고학 성립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북한의 고고학 방법론은 식민지고고학의 탈피와, 정치・이데올로기적 입장과 같은 학문 외적인 부분과 많은 인과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학사적인 검토와 더불어 해당시기의 주변 상황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각형토기문화는 토기의 기형적 변화와 관련하여 크게 3단계로 구분 가능하며, 1기는 기원전...
[학술논문] 서북한지역 지석묘 연구 검토 -형식 및 편년을 중심으로-
...북한고고학계의 실상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본고의 목적은 북한선사고고학의 패러다임과 접근 방법론 및 편년 논리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북한의 사회정치적 상황이 선사고고학 연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기별 지석묘 연구시각과 방법론의 변화에 주안점을 두고 학사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학사의 검토와 함께 지석묘 조사・연구 자료를 종합하여 서북한지역 지석묘의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묘역시설의 형태와 구조, 매장주체부 위치와 형식의 변화상이 관찰되는데군집 내 분포, 형식, 출토유물 양상에 기초하여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한다. Ⅰ기 지석묘는 넓고 두터운 묘역부가 시설되며 동일 묘역 내 복수의 매장주체부가 조성된다. 부장품은 단면 렌즈형의 유경식검과 유엽형촉, 이단경촉과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