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 권력구조 변화에 대한 비교체제론적 연구 : 북한과 중국의 헌법 및 공산당 비교
...김일성-김정일-김정은에 이르는
세습권력 체제에 대한 정신적 기반을 마련해 주는 역할을 하였고, 권력 교체과정에서 권력의 기반을 다지기 위하여 척신세력과 공신세력 교체를 병행하여 왔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북한 내부에는
정권교체를 위한 불만세력의 혁명 또는 이들을 지지하거나 동조하는 세력이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의 조건은 불충분하다. 따라서 북한에서는 혁명이 일어나지 않는다. 왜냐 하면, 북한에서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은 김일성 주도하 이미 일어났고, 북한체제에 대한 불만이 있거나 정치군사적으로 쿠데타를 일으킬 소지가 있는 대상에 대해서는 가혹한 숙청을 진행 해왔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북한은 외부의 침략이나 체제붕괴를 유도하는 외부적인 책략이 없는 한
세습적 당국가체제형태의 정치체제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