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남북한 주민의 통일국가정체성 인식조사
통일국가의 정체성 및 통일문제에 대한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국가미래상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결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다문화주의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도 상당히 높은 편이었지만, 이와 동시에 통일국가가 한민족만의 단일민족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상충하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그리고 통일국가 비전에 관련된 복지와 재분배, 개인과 국가의 관계, 민족주의와 다문화 등에 대해 사회적합의가 형성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사회에 대한 정체성은 상충요인이 공존하고 있었다. 한국 국민들은 종족적 의미에서의 한민족 정체성과 시민적 차원에서의 대한민국 정체성을 혼재하여 지니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고연령층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