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소학교 3학년 자연 교과서의 에너지 관련 단원 분석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 소학교 3학년 자연 교과서에서 에너지 단원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북한 2013 제1차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강령에 의해 개발된 소학교 3학년 자연 교과서이다. 북한 소학교 3학년 자연의 에너지 단원은 남한의 2015개정에 따른 3~4학년군 에너지 관련 단원과 비교․분석되었다. 북한 교과서의 분석은 단원별로 교육 내용 밀도, 삽화 유형과 기능, 탐구활동 유형과 수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초등학교 에너지 관련 내용은 학년에 따라 교육 내용의 범위와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북한 소학교 3학년 자연 교과서에서 물리 영역의 비중이 다른 영역에 비해 높았다. 셋째, 남한 초등학교 에너지 단원의 교육 내용 밀도가 북한보다 더 높았다
[학술논문] 남북한 중학교 과학에서 에너지 교육 내용과 교과서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중학교 과학에서 에너지 교육 내용과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남한 2015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북한 2013년 제1차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강령 초급중학교 자연 과학 교육과정이다. 교과서는 남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과학과 북한 2013년 의무교육강령에 따른 초급중학교 1학년 자연 과학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에너지 교육 내용은 차이가 있었고, 공통된 내용이 적용되는 학년 또한 달랐다. 둘째,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전체 페이지는 남한이 북한보다 더 많았다. 셋째, 남한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과 학생 스스로 학습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구성하였고, 북한은 학생들의 토론을
[학술논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회복환경지각을 매개로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숲 방문 동기가 ‘코로나-19’인 이용자를 중심으로 -
코로나-19로 인하여 전 세계 방역체계에 비상이 걸렸다. 코로나-19로 우리 국민들은 모임·외식·여행 등을 연기하거나 취소하고;외출 자제;사회적거리두기;마스크 착용 등 정부의 국민행동지침 상황에서;숲에 가는 이용객들은 늘어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 간의관계를;숲이라는 회복환경지각이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2020년 5월~7월까지 관악산·북한산·유명산 방문자중;숲에 온 이유가 코로나-19라고 응답한 총 552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Pearson 상관분석결과;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는 회복환경지각과 정신적 웰빙에 부의상관이 있으며;회복환경지각은 정신적 웰빙과
[학술논문] 남북한 초등 생명과학 내용 및 북한 소학교 3, 5학년 생명과학 단원 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elementary life science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life science units in the 3rd and 5th grades of primary schools in North Korea. The subject of life science education contents are the North Korea's 2013 1st universal 12-year curriculum and South Korea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Life science units of the 3rd and 5th grade of N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