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응과 지원 대책 연구 : 경기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두려움과 공포심의 축적 등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 증세는 북에 두고 온 가족들에 대한 죄책감 표출, 대인기피증, 상대적 좌절감과 소외감, 등으로 인한 사회적 일탈 행위 등은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하고 있다 아울러 북한 출신의 특징과 열등의식, 외적환경과 현실에 대한 적응력 부족, 사회적 지지체계의 불완전성, 정체성 혼란과 공격성향, 이 밖에도
우울증, 결손 가정문제 등 다양한 형태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과 정상적인 생활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통일부를 중심으로, 하나원,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교육부, 행정자치부, 노동부, 주택공사, 적십자사 등이 참여하여 역할을 분담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과 청소년 문제의 복합적인 원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