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강유역권에 나타난 새로운 유형의 철기문화와 위만조선(衛滿朝鮮)
...위에 진한대(秦漢代)를 즈음하여 도입된 단조기술이 결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았을 때, 새로운 유형의 철기문화를 구성할 수있었던 세력은 고조선(古朝鮮)의 전통 위에 한(漢)의 병위재물(兵威財物)을 획득할 수 있었던
위만조선(衛滿朝 鮮)으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위
만조선에 의해 구성된 새로운 철기문화가 한반도 남부지역 중 특히 북한강유역권에 먼저 전달된 데에는, 이곳 지역세력이
위
만조선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가장 외연(外緣)의 지방세력이거나,
위
만조선의 철기 유통망에 밀접하게 가담한 세력이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즉 ‘중앙’으로부터의 밀접한 영향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가장 처음으로 초기철기문화와는 다른 보다 발전된 철기문화를 영위하게 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