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디지털 고구려박물관 전시
...것도 이 때문이다. 디지털 고구려박물관의 전시 공간은 고구려 역사의 전개에 따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고 시기별 전시실을 둘, 또는 셋으로 나누어 관람객이 역사와 문화를 동시에 알 수 있게 하는 게 바람직하다. 초기의 두 전시실은 각각 유화의 방, 온돌 위의 하루다. 관람객은 두 전시실을 통해 고구려 성립 초기의 신화적 사고 및 고구려 주거문화,
음식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중기의 두 전시실은 군마의 발굽, 색동치마다. 각각의 전시실은 영역 확장을 통해 고구려 문화의 영향권을 확대시킨 중기 고구려사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고, 5세기 전성기 고구려의 화려한 문화를 복식문화와 함께 만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후기의 세 전시실은 각각 청룡과 백호, 천리장성, 하늘이다. 관람객은 사신 위주 고분벽화가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