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단동(丹東)지역의 한국어 음운론 연구
...한국어의 하위 방언인 각 방언의
음운
체계와 음운현상이 명확하게 연구되었을 때 비로소 한국어 전체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음운론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한반도 남쪽에만 치우쳐 연구된 음운론 연구의 대상과 범위를 넓혀 중국 단동지역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를 대상으로 공시적 음운현상을 분석하였다. 논의 순서는 우선 현지 조사과정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 지역어의
음운
체계를 밝혔는데 크게 자음, 유음, 활음, 모음 등 네 부류로 나누어 검토 하였다. 다음 형태소 경계에서 일어나는 공시적인 음운현상을 그 변동 양상에 따라 ‘교체, 탈락, 삽입, 축약’이 네 유형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논의를 통해
음운
체계는 중부방언과 비교해 보았을 때 /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