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보호책임(R2P) 및 군사개입관여의 한반도 적용 문제 분석
... 제시한 무력사용 조건에 합당해야 하며, 해당 국가의 국제사회로부터의 고립여부, 정부통치 통제력, 반정부 세력의 결속정도, 지리ㆍ자원적 측면에서 부담과 향후
개입국의 국익과 발전 가능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북한 급변사태 발생 시 보호책임(R2P)의 적용은 UN의 안보리 결의에 의한 무력
개입 결정의 선행과 함께 효과적으로 임무수행이 가능한 동일 민족이면서 동일 언어를 사용하고 문화적 동질성을 지닌 우리 주도의
개입을 통해
인도적 측면에서 신속한 대응으로 북한 주민을 보호할 수 있으며, 주변국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냉혹한 국제사회의 현실 속에서 한반도의 평화유지와 더 나아가 한반도의 통일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