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평화안전법제와 한반도 안보
...평화안전법제(2016년3월 발효)와 관련 ①중요영향사태, ②존립위기사태, ③무력공격사태, ④유엔 결의안에 의한 집단안전보장 사태 등을 분석한다. 2015년 4월 개정된 미일 가이드라인은 ①평시 협력조치, ②
일본의 안보위협 조치, ③
일본에 대한 무력공격시 조치, ④구체적 작전구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반도 유사시 한미일 협력요소를 도출할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론적으로 한일
안보
협력을 위한 제언으로서 ①실질적인 한일
안보협력 태세를 위해 NSC 차원의 대화, 한일 및 한미일 외교+국방장관회담 신설하고, ②한반도 유사상황에 대한 한일 및 한미일
안보협력 과제를 식별하고 이를 토대로 한미일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 안보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③유엔을 비롯한 우방국과의 공동작전 능력을 확대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역내 다자협력방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