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서기』와 고대 동아시아의 ‘경계’ 허물기
이 글은 최근 한국과 일본 일부의 과거 지향적인 역사인식을 비판하면서, 고대의 시선에서 일본서기를 검토하여 고대 동아시아의 ‘경계’를 허물려는 시도이다. 근대 일본의 식민주의 역사학은 일본서기를 통해 왜가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을 제기하였고, 고대 동아시아의 ‘경계’를 한반도 내에 그렸다. 북한의 김석형은 일본 주장을 180도 전환하여 ‘분국설’을 제기하였는데, 고대 동아시아의 ‘경계’를 일본 열도 안에 그었다. 남한에서는 ‘경계’를 한일 사이의 바다에 설정하면서도, 지배의 주체를 백제로 치환하여 ‘지배’의 관점을 유지하였다. 그런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