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국적 어머니 경험을 통한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정서변화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북한이탈 40대 중년여성 5명이 심층면담에 참여하였으며, 2차례의 심층면담 자료를 확보하여 전사하고, Giorgi 현상학적 방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미 단위 44개, 하위 구성요소 13개, 구성요소 5개를 도출하였으며,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초국적 어머니 경험은 ‘가족과의 이별에 대한 의미 부여’, ‘모성의
정체성 상실’, ‘초국적 모성 경험’, 여성과 어머니 욕구의 갈등’, ‘초국적 모성의 재구성’으로 구조화하였다. 초국적 어머니 경험에 나타난 이들의 정서변화 및 이와 관련된 현상들은 ‘책임감/좌절감-갈등-떠남’, ‘상실감/무력감-갈등-재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