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현황과 갈등의 이념화 현상에 관한 연구
...이념갈등은 첫째, 안보적 요인으로서 남북한 분단과 체제대결, 둘째,
정치적 요인으로서 정치인들의 이념적 간극의 증대와
정치적
양극화, 셋째, 경제적 요인으로서 성장과 분배 등에 대한 우선 순위 논쟁, 넷째, 사회·심리적 요인으로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 따른 전통과 개인의 자유 등에 대한 중요성 논쟁 등에 의해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념갈등은 갈등의 범위가 넓고, 갈등 당사자가 많으며, 이슈와 쟁점이 다양하기 때문에 갈등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다음으로 한국사회 공공갈등의 이념화 현상은 첫째, 공공갈등에의 무분별한 제3자 개입, 둘째, 사회문제의 과도한 정치화, 셋째, 정치
양극화 및 정서적
양극화, 넷째, 상호 배타적 공론장의 대립 등에 의해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