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탈북청소년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예술기반연구
...나타내었다. 미술학습으로 정체성 문제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
북
청소년들의 삶과 이주는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 둘째,
탈
북
청소년의 정체성은 어떻게 재구성되는가? 셋째,
탈
북
청소년들의 삶에서 미술학습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우선
탈
북
청소년들은 태생, 탈북 동기, 입국 경로, 가족 동반 여부, 탈북 기획 유형 등에 따라 다양한 생애경로를 가지고 있었다. 행복학교 안에는 북한에서 태어난 “
탈북청소년”과 중국에서 태어난 “
제
3
국
출생 비보호
탈북청소년” 사이에 보이지 않는 벽이 있었다. 학생들은 그 사이에서 본인이나 부모의
출생국가에 따라 명확하게 구획된 국가정체성을 형성하지 않았다. 오히려 거주 기간이나 소속감에 따라 복합적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