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이후 문예지(종합지)의 외국문학 수용과 이해
...문학은 능동적으로 서구문학을 의식함으로써 문학이 지닌 보편성을 탐구했을 뿐 아니라 한국문학의 독자성을 탐색하고 전개시켜 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제
3
세계
문학의 작품이 한국 문단에 소개된 맥락을 탐구함으로써 한국
제
3
세계
문학수용사를 알 수 있다. 한국전쟁이후에는 외국 문학작품이 주로 저널에 소개되고 이어서 단행본으로 출간되는 수순이므로, 어떤 이유로 특정 작가의 특정 작품이 당대에 소개되었는지 문화적 맥락을 알 수 있다. 노벨문학수상작 뿐 아니라 흑인문학, 여성문학, 남미문학, 아시아문학, 아프리카문학에 대한 수용사를 통해
제
3
세계
문학수용의 추이를 알 수 있다. 여섯째, 번역(출판)의 메카니즘을 통해 해외문학의 유입과 이해과정은 물론 한국 지성사의 변모과정을 알 수 있다, 개인의 의도에 선행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