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문학 속의 김소월 1
...논문은
북한
문학에 나타난 김소월시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민요성, 서정성, 민족성을 보여준 김소월은 한국현대시의 대표 시인이다. 그러나 남북의 문학사는 김소월의 민요적 율격, 민족적 정서, 향토적 소재를 각기 다른 의미와 관점에서 평가한다. 남한 연구자들이 서정성, 전통적 정한(情恨)의 정서, 낭만과 애수, 민요, 전통 율격의 시인으로 소월을 평가한다면
북한의
문학에서는 인도주의, 인민성, 애국주의, 민족적 형식, 민족적 요소의 기준으로 소월을 평가한다. 카프에 가담한 바 없고 이념적 경향성을 드러낸 바 없으며 남북 분단 전에 작고하여 체제 선택과도 관계없는 김소월이지만 분단된 남북의 문학사 안에서는 서로 다른 이념적 잣대로 평가받고 있는 것이다. 1960년대 중반까지의
북한
문학은 김소월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