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에서의 자녀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개신교인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 인과적 조건은 중심부 배제로 인한 주변인 지위로 나타났고 현상은 과거로의 회기 심리, 인위적 현실 망각으로 나타났고 맥락적 조건은 부모-교사 간의 불신감, 사교육 소외, 멀어지는 희망, 교육 주변인, 문화적 충격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소수자 연대, 개신교 공동체의 도움으로 나타났고 작용/상호작용은 낙관적 기대 속의 도전, 강한 생명력의 자본화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는 가능성 기획으로 범주화했다. 연구의 주요 발견 점은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이 교육 실패와 좌절을 극복하고 새로운 꿈을 꾸는 데 있어서 교회의 지지와 후원이 가장 큰
중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교회의 지지와 구체적인 접근 방안에 대하여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