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8년 지방선거의 접경 효과: 연령, 도농, 개발 효과와의 구분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접경지역의 특성이 도시화되지 않은 효과 그리고 연령 효과인지 확인해야 한다. 노년층일수록 보수 후보에게 투표한다는 연령 효과는 지역에 따라 달랐다. 연령 효과는 접경지역보다 비접경지역에서, 또 강원 지역보다 경기 지역에서 더 컸다. 강원 접경지역에서는 연령 효과를 거의 발견할 수 없었다. 대신에 다른 조건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비접경지역보다 접경지역에서 더 진보적인 선거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접경지역은 각종 법규로 개발이 제한받는 곳이기 때문에 지역개발 가능성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 선거를 앞둔 시점에
지가가
상승한 지역의 더불어민주당 득표율은 그렇지 않은 지역보다 컸는데,
지가
상승률은 선행연구의 지역경제지표와 달리 지역 득표율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