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문화충돌과 직업적응과의 관계 분석
...진로배경은 가정지향, 북한에서의 일 경험, 탈북동기, 자신의 정체성으로 분류되었고, 성공요인이나 새로운 삶을 구상, 지속해서 취업을 향해 노력하는 자세 등의 주제가 분류되었다. 직업문화충돌로 분류된 구성요소에서는 직업안정성을 추구하거나 남한생활 적응의 어려움, 남한의 문화를 수용하고 진로타협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직업적응에서는 진로자본으로 자격증 취득, 학업,
직무만족, 대인관계 등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한편, 진로장벽으로 분류된 주제어가 제일 많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Ⅱ의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개인별 특성에 따른 직업문화충돌과의 차이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높고, 그중 40대가 가장 높았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직업에 대한 목표나 포부가 크고 기대치가 높아 문화충돌을 더 많이 경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