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60년대 해양 문화 담론 연구
...학생들에게 어떠한 해양 인식과 경계 인식을 만들어 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고찰을 시도했다. 그 결과, 이승만라인을 둘러싼 해양 문화 담론은 한일 어업문제 그 자체에 대한 해결보다는 일제강점기의 재산청구권문제(제1기)와 북한송환사업(제2기), 그리고 쿠데타에 의해 성립된 군사정권(제3기)과 연동되면서, 일본의 미국 해상주권에 대한 열등감 은폐와 재일조선인의 국외
추방, 그리고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에 따른 한미일의 정치적・경제적・군사적 유착 관계를 만들어내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소년의 바다』는 일본인 소년의 한국 밀항과 4・19혁명을 목격하면서 국민의 자각적인 행동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지만, 정작 한국 밀항을 도와준 혼혈로서의 재일조선인 임리방과 그의 남동생 임태준이 왜 한국으로 강제송환되었는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