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쳐 쓴 식민 기억과 잊혀진 텍스트, 냉전의 두 가지 징후: 이태준의 「해방전후」 개작 연구
...식민 기억의 변화에 주목하여, 식민지 시기와 해방의 순간이 기억되는 방식, 작가 자신의 시국협력 행위와 식민지 시기 문학세계에 대한
평가 등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고찰한다. 이를 통해 「해방전후」에 특징적이었던 작가의 반성적 목소리는 약화되며, 일제의 억압과 저항하는 작가라는 단순한 민족주의적 대립구도가 강화되는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런 일련의 변화들은, 때로 「해방전후」의 서사가 보여주었던 섬세하고 성찰적인 내면 표현과 상반되는 북한문학의 이념적 도식성을 그대로 답습하며, 때로 작가가 고치지 않은 부분과 긴장감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 1949년
텍스트에 드러나는
균열과 불안을 세밀히 읽어냄으로써, 이 연구는 「해방전후」 1949년 판본의 최초 연구로서의 자료적 가치를 제공하고, 이태준의 월북 이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