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 북한관광 빅데이터 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제한적 목적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 한편, 잠재관광객이 인지하는 제한적 목적지의 관광이미지를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해석함으로써 일반적 목적지와 차별되는 제한적 목적지의 관광이미지에 대한 이해와 학술적 근거를 고찰하는데 목적과 의의가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한적 목적지의 대상을 북한으로 설정하고 Java 언어로 자체 구축한 웹 크롤러(web crawler)를 활용하여 ‘북한관광’을 키워드로 2014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총 5년간의 국내 대표 소셜미디어(Social media)인 네이버(Naver), 다음(Daum)의 블로그 및 카페에 게시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네이버 블로그 97,969건, 다음 블로그 14,292건,
[학술논문]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북한관광 빅데이터 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제한적 목적지의 관광이미지를 다차원적으로 이해하고 측정하는 학술적 근거를 마련하는 한편, 북한관광을 사례지역으로 설정하여 접근함에 따라 남북관광과 관련한 관광객의 관광이미지의 차원을 도출하고 이에 근거한 북한관광 및 통일관광의 정책적·제도적 방향에 대한 논리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Java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자체 구축한 웹크롤링을 활용하여 2014년 01월 0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로 5년간 국내 대표적인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의 블로그와 카페에 게시된 글 중 ‘북한관광’을 검색어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Netminer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명사 및 형용사형 텍스트를 활용하여...
[학술논문] 통일관광 속성에 대한 인식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관광 속성에 대한 인식과 통일의식 형성 간의 관계성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통일관광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실증분석 결과, 통일관광 속성은 6가지 요인(자원요인, 인프라요인, 문화요인, 여가요인, 안전성요인, 경제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각 요인별 통일의식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요인(개성, 평양, 백두산, 금강산 방문에 대한 기대감)은 통일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인프라요인(철도, 도로, 동북아 중심지 등에 대한 기대감)은 통일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문화요인(스포츠 교류, 문화예술 교류, 문화 콘텐츠 가치에 대한 기대감)은 통일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술논문]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북한관광 인식 연구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북한관광에 대한 인식의 핵심요소를 파악하고 구성개념 간의 관계를 기술적, 탐색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2018년 1월부터 2019년 1월까지의 기간 동안 국내 포털사이트 중 블로그가 가장 활성화 되어있는 네이버 블로그를 대상으로 ‘북한관광’이 포함된 게시글을 수집해 36,339건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TF 및 TF-IDF값을 통해 텍스트의 중요도를 측정한 결과 국제적 영향관계, 경제적 효과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국제 정치적 상황의 안정이 전제되어야 북한관광 재개 및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국가적 노력과 국민의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토픽 모델링 결과 남북연계관광
[학술논문] 질적 접근을 통한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한 인식 연구
본 연구는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한반도 통일관광 정책의 방향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정책적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통일관광 인식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설문 문항을 통한 양적연구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민들의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한 다양한 인식 측면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어 질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 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한반도 통일관광 정책의 방향성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Nvivo10을 사용하여 범주를 분류하였으며, 노드별 가중치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참가자들이 인식하는 한반도 통일관광 요인은 자원요인, 인프라요인, 문화요인, 여가요인, 안전성요인, 경제요인으로 분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