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통일인식 변화를 통해서 본 통일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외부 정보 유입으로 인한 자유와 기회 추구가 주된 동기였다. 탈북 이후 통일인식의 변화 과정에서는 남한 사회 적응 경험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생활 경험은 통일의 현실적 과제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켰다. 현행 통일교육의 한계점으로는 교육 내용의 현실성 부족, 교육 방식의 일방향성, 교육 대상 특성에 대한 고려 부족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탈북민 강사 양성 프로그램의 체계화, 체험형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통일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등 실천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통일인식을 세대와 성별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일반화된 접근을 보완하고, 통일교육의 실천적 개선방안을 당사자의 관점에서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