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러 신조약의 특성과 북·러 관계의 성격: 대피동맹이론의 적용
...협력 국가와 동맹해야 하는 북한의 사정은 러시아가 북한을 핵국가로 인정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동기유발의 효력을 갖는다. 북한과 러시아는 대피동맹의 결성을 통해 양국 모두 일시적 곤경에서 헤어나려 했으며, 그로부터 성과를 상당히 얻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북·중 관계의 상대적 냉각처럼 잃은 것도 있으며,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일시적 이익의 최적화를 위해 결성한 동맹 구조로 인해 향후 국제정세가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우려이다. 북한 정권의 이익 충족을 위해 러시아와 결속한 행동이 러시아의 상시적인 한반도 문제 개입을 초래한 데서 그 심각성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의
안보
전략은 이로 인해 과거보다 복잡해지고, 대응 방향을 정하는데 혼선을 야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