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쟁지역 환경협력의 유형과 안정적인 남북한 접경지대 환경협력을 위한 촉진요소 연구
2018년 평양공동선언은
한반도 긴장을 개선하고, 비무장지대(DMZ)를 중심으로 접경지대
환경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그러나 접경지대
환경
협력은 공동으로 직면한 환경문제를 해결하면서 신뢰를 구축하는 평화와 환경의 교차점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경제협력이나 문화협력 등 다른 협력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술적인 관심을 끌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쟁지역 접경지대에서 어떠한 조건에 따라
환경
협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쟁지역 접경지대
환경
협력은 갈등 수준과
환경
협력의 적극성 여부에 따라 전환형, 완충형, 안정형으로 구분했고,
한반도는 낮은 갈등 수준에서 수동적인
환경
협력이 진행 중인 완충형으로 파악했다. 본 연구는 적극적인
환경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 세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