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 당·군 관계의 변화과정 : 변화의 동인과 그 의미
...‘공생’의 특성에 기여했으며, 공산권 국가들의 관계 자체가 지니는 ‘국제성’은 당의 對군부 우위성이라는 기본원칙이 북한의 경우에도 변함없이 유지되게 만든 요인이었다.최고지도자 및 당의 주요 정책노선도 북한 당·군 관계에 일부 영향을 미쳤으며, 그 대표적 사례는 196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된 군사·
경제
병진
정책이었다. 비슷한 설명이 1980년대 중·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에 걸친 당·군 관계의 변화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구조적으로 심각하게 왜곡된 경제구조를 시정하고 생산성을 증대하려는 최소지도자의 경제정책이 이 시기 군의 영향력 감소와 일정한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반면, 북한의 사례에 있어 대군 통제장치 자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