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항일혁명문학(예술)’ 담론의 기원과 주체문예의 문화정치
...‘항일혁명문학(예술)’의 역사적출현 배경과 문학사적 위상을 재조명하였다. 1950~60년대 문예지를 분석하여 항일혁명문학(예술) 담론의 기원을 미시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나아가 그 역사적
전통을 근거로 이후북한 문학예술 장에 펼쳐진 주체문예론의 문화정치적 자장을 고찰하였다. 북한 문예지의빨치산 문학 자료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니 처음에는 1930년대 항일 유격대의 전투 중 예술선동이 구전된 민중가요, 정치연설, 촌극으로 기억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그러다가 1959 년을 기점으로 ‘
혁명적 가요,
혁명적 정론,
혁명적 연극’으로 호명되면서 북한 문학예술의기원이자 적통으로 차츰 격상되었다. 이 과정에서 하방 위기에 놓인 문인, 예술가들은 ‘현지파견, 노동체험’에서 빨리 벗어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