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터커의 이론을 통한 김정일・김정은 정치리더십과 북한 핵정책의 변화 분석
이 연구는 정치리더십을 상황진단, 정책처방, 지지동원의 세 단계로 정리한 터커의 이론을활용해 김정일, 김정은의 정치리더십과 북한 핵정책의 변화를 분석했다. 김정일은 1・
2차 북핵위기, 1・
2차 핵실험의 정치적 상황에서 선군정치, 선군경제건설노선, 핵보유 공식화의 정책을처방하고, 선군 법제화, 경제조치, 선전선동전략으로 지지를 동원하고자 했다. 한편 김정은은
2.
29
합의, 3~6차 핵실험, 정상회담, 신냉전 구도의 정치적 상황에서 경제핵무력건설병진노선, 핵무력 완성, 경제건설총력집중노선의 정책을 처방하고 육성 신년사, 핵 법제화, 선전선동전략으로 구성원들의 지지동원을 도모했다. 두 정치리더십은 핵 외교협상, 국가전략, 지지동원수단의 공통점이 있지만, 정치환경의 변화, 핵의 가치인식, 정책 지지동원을 위한 법제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