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더 세진 ‘매드맨’ 트럼프…누구도 예외없는 ‘미국 우선’ 민낯 나왔다 [박수찬의 軍] 관련이슈
‘팍스 아메리카나’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 등 지정학적 경쟁자의 공격이 아닌 미국 내부 변화에 의한 결과다.
제2차 세계대전 이래로 미국은 경제적, 군사적 지배력으로 전쟁을 억제하고 무역을 보호하는 ‘팍스 아메리카나’를 적극적으로 구현했다.
[뉴스] 더 세지는 ‘아메리카 퍼스트’… 글로벌 안보지형 격랑 예고 [트럼프 2기 시대]
“오늘부터 새로운 비전이 이 땅을 지배할 것이다. 오직 ‘미국 우선주의’가 이 땅을 지배하게 될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고립 외교와 강경 일변도 대중국 정책 등은 한반도를 비롯한 글로벌 외교·안보 지형의 급변을 예고하고 있어 관련국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뉴스] 트럼프 北 특임대사에… ‘미군철수 발언’ 그리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4일(현지 시간) 리처드 그리넬 전 주독일 미국대사(58·사진)를 북한 등을 담당하는 특별임무대사로 지명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그리넬이 북한, 베네수엘라 등을 포함한 전 세계 가장 뜨거운 곳(분쟁 지역)에서 활동할 것”이라며 “그가 언제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최우선으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 트럼프와 '트럼프 측'은 한반도 문제에 같은 입장인가
1.조현동 주미대사는 23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측도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확고히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뉴스] 러와 밀착하는 북, 대러 민간교류조직 신설·대미 단체는 폐지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러시아와 밀착 속도를 높이는 북한이 외무성 후원 민간단체에 대(對)러 교류 조직을 신규 등록하고 기존의 대미 교류 조직은 폐지했다.
17일 북한 외무성 홈페이지에 따르면 외무성 조직은 11개국, 3개 산하 연구소, 10개 후원 민간 단체 등으로 최근 개편됐다.
[통일/남북관계]
...남북기본합의서를 체결했으며, 2000년 첫 남 북정상회담을 개최해 남북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개막했다. 그러나 북핵 위기는 심화되었으며, 김정은 정권의 한반도 적대적 2국가론 선언과 민족‧통일 개념 폐기로 남북관계는 위기를 맞고 있다.
탈냉전기 국제질서 재편에서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미‧중 전략경쟁 이며,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내세운 트럼프 행정부 1기에 이어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양측 간 대립이 본격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25년 1월 출범하는 트럼프 행정부 2기는 더 강력한 대중 압박정책을 예고하고 있다. 중국은 상하이협력기구(SCO)와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을 강화하며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질서에 자국이 배 제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정치/군사]
‘아메리카 퍼스트’ 트럼프의 귀환은 대한민국에 위기인가 기회인가?
미·중·북 삼각관계에 주목하면 해법이 보인다!
불안감에 휩싸인 한국에 새로운 미래를 보여줄 김동기의 한반도 지정학
2024년 11월,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 자리를 탈환했다. 언론의 예상을 뒤엎고 부활한 그는 취임사에서 미국의 황금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전 세계인들은 ‘아메리카 퍼스트’를 외치며 배타적인 이민 정책과 고관세 정책 등을 내세우는 그가 이끄는 미국을 두려워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 긴밀히 연결된 한국에는 직격탄이 떨어질 것이라는 걱정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신정부...
[정치/군사]
...국방장관과 육군 지휘부가 깊이 연루되어 있었다. 저자는 만일 국방부 장관이 민간인이고 대통령실 안보실과 국방부의 주요 정책결정권자들이 제대도 문민화 되었다면 이러한 비상계엄 자체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진단한다. 그래서 국방 문민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미국에는 스스로 미치광이를 자처하며 ‘America First’를 거침없이 외쳐대는 트럼프가 다시 대통령으로 돌아왔다. 그는 대통령 취임식 날부터 북한 김정은을 핵파워(Nuclear Power)로 지칭하며 개인적인 친분 과시를 서슴지 않았다. 과거 아무런 결과도 없이 트럼프와 김정은의 세계적 TV Show로 끝나버린 미·북 정상회담의 기억이 선명하다. 다시 이런 상황이 빚어지지...
[정치/군사]
한반도 비핵화·평화정착의 로드맵,
2022년까지 무엇을 할 것인가
트럼프 등장 이후의 국제정치와 한반도 비핵화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이후에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앞세우면서 민주적 거버넌스, 인권, 자유무역, 다자주의에 기반한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약화시키고 있다. 그 후 미중관계에서는 협력과 경쟁 중 경쟁 측면이 강화되고 있다. 특히 2018년 이후에 미국 행정부가 중국을 도전세력으로 규정하고 압박하면서 양국 간의 전략 경쟁이 치열해졌다. 즉,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정치/군사]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미국과 유럽 등 친서방과
러시아를 지원하는 중국 등 반서방의 신냉전 구도
러시아는 2014년에 크림반도를 무력으로 병합한 후, 2022년 2월 21일에는 우크라이나를 전격적으로 침공해 전 세계를 경악시켰다. 결국 3년째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은 언제 끝날지 모르는 장기전으로 변했다.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미국과 EU를 비롯한 친서방이 러시아를 지지하는 중국, 벨라루스, 북한 등 반서방과 대립하는 신냉전 구도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팔레스타인의 하마스는 2023년 10월 7일, 가자 지구에서 가까운 이스라엘 남부 키부츠와 군사 기지를 급습해 1,200여 명을 살해하고 250여 명을 인질로
[학술논문]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의 변화와 그 원인(1953~1973)
This paper contemplates upon the dimension of changes the Korean Serviceof Voice of America (VOA) went through and its causes, starting from the KoreanWar Armistice until the removal of the relay broadcasting of Korean radio stations. VOA, the U.S. government propaganda machine, was successful at some degreein deeply permeating anti-communism and pro-Americanism into the consciousnessand attitude...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에 관한 연구
본고는 한국전쟁기에 한국인을 대상으로 선전방송을 하였던 미국의 소리(VOA) 한국어방송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미국정부는 전쟁 승리, 반공 확산, 대외정책의 홍보, 미국문화의 전파라는 큰 목표 아래 VOA를 운용하였다. 특히 한국어방송은 전쟁 승리를 위한 반공 메시지의 전파를 가장 주요한 임무로 삼고, 3년 동안 매일 오전과 오후에 모두 1시간 15분 간 방송하였다. 대부분 사회적 상층이었던 한국인 청취자들이 가장 선호하였던 프로그램은 전쟁 상황과 세계 각국의 소식을 전하던 <뉴스>와 중요한 시사와 인물 등을 미국정부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설명하던 <해설>이었다. 다양한 주제와 소재로 만들었던 <특집>, 청취자를 모으기 위한 음악과 드라마 위주의 오락 프로그램이 있었다. 그리고
[학술논문] 일그러진 조국-검역국가의 병리성과 간첩의 위상학
...가족을 통해 ‘재일조선인 간첩의 탄생’이 중층적 역사의 시간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는지를 짚어보았다.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은 검역국가의 병리성, 즉 분단의 질병으로서의 ‘자기면역병’이 냉전의 유산인 동시에 풍토병적 성격을 가졌다는 점을 일깨워줄 것이다. 그야말로, 냉전은 저 멀리 시베리아 반도와 아메리카에서 흘러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 발밑에서’ 피어오르고 있었음을 말이다. 또한 이 사건은 우리로 하여금 탈식민과 냉전이라는 두 개의 전선이 교차되는 자리에 서 있던 주체들과 그들을 “짓누르고 있던 운명”, 그리고 그들이 “이 운명의 형태”를 응시하던 방법들에 관해 숙고하도록 이끌 것이다...
[학위논문] 남북한 전시소설 연구 : 스토리 유형을 중심으로
...heroism of people's liberation army, people's invincibility, and the nature of aggressive America. In accordance with these themes North Korean 'JUNSI SOSEOL' shows three principal story aspects : figuration of heroic warrior, heroism of people in the rear, exposure and condemnation of America' brutality.
South and North Korean 'JUNSI SOSEOL' displays similar...
[학술논문] 미국 대중문화에 나타난 ‘김치장막’: 한국계 미국인배우의 북한 재현을 중심으로
In a few recent Hollywood films, North Korea has been described as a force disrupting the world’s peace. These images of North Korea can have implications for ethnic politics in that they are likely to reinforce bad stereotypes about Asians. In particular, Korean American actors who impersonate North Koreans in Hollywood movies, entail complex problems about the representation of their ra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