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냉전시대 그린데탕트의 경험과 남북한 환경협력에 대한 시사점
...적대적인 당사자 간의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에는 중재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적대적인 양측으로부터 모두 신뢰를 얻은 핀란드가 성공적인 중재역할을 하였다. 남북한의 경우 다양한 환경협력 사업이 제안되거나 논의되고 있다. 이중에서 북한 산림조성 사업이나 임진강 홍수방지 사업은 실현 가능성이 낮고 평화유발 효과도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에 백두산 공동조사 사업은 실현가능성은 높지만 평화유발 효과가 낮다. DMZ 생태공원사업은 평화적 상징성이 큰 환경협력 사업으로서 군사적 긴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금강산 관광이슈와 연계할 경우에는 실현가능성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남북한의 경우 비무장지대의 생태공원 조성이 그린데탕트 전략을 실천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학술논문] DMZ 평화적 이용의 세계화 전략: 세계평화공원화・ 국제관광자원화를 중심으로
...그 의의가 크다. 그러나 ‘DMZ 세계평화공원’을 단일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북한의 협력을 유도하기 어려울 것인 바, 북한에게 경제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국제관광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MZ 세계평화공원’은 세계화 차원에서 국제회의 장소인 국제평화관 건립과 유엔기구를 유치, 그리고 남북화해와 협력을 위한 만남의 광장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제관광사업’은 북한의 이익만을 고려한 금강산 단일지역보다는 남북한이 공동이익 추구가 가능한 남북한 접경지역을 왕래하는 관광거점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군사적 보장조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 일환으로 DMZ 관리 및 통제를 위한 유엔군의 파견이 요구되며...
[학술논문] 남북 문화공통성 창출을 위한 방안
...위해서는 문화적 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이는 통합을 위한 가치의 공유와 함께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고, 차이를 차별이 아닌 문화적 특성으로 이해하는 지난(至難)한 인내력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정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의 문화교류와 협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남북문화 공동체형성을 견인할 수 있는 문화적 체험을 늘어가야 한다. 장기적인 협력을 위한 문화협정과 함께 우선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민족문화 분야의 협력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남북 사이의 인적 교류 확대가 필요하다. 관광협력이나 DMZ를 활용한 협력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남북과 함께 해외코리언의 협력을 통한 문화공동체 사업을 확대한다. 남북의 통일과 함께 해외코리언이 함께 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하면서 연대감을 형성해야 한다.
[학술논문]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국제공조 방안: NGO의 국제연대 활동과 지원을 중심으로
... 조성하기 위해서는 DMZ 세계평화공원의 구체적인 실천 로드맵의 설정이 필요한데, 1단계로는 대통령 또는 국무총리 직속의 ‘DMZ 세계평화공원 추진위원회’의 구성을 하고 운영하는 것, 후보지의 선정, 북한의 호응과 국제사회의 지지에 대한 호소, 민간의 자발적 참여가 필요하다. 2단계는 소재지의 최종확정이 필요하며, 3단계로는 평화공원의 조속한 착공, DMZ평화적 이용의 확대, DMZ 접경지역의 생태·역사·문화관광의 확대 등의 단계별 로드맵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한국 인문지리학 분야에서 북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분야에서는 비판지정학을바탕으로 한 신지정학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DMZ와 접경지역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경제지리 분야에서는 북한의 지역개발과 통일 이후의 남·북한 경제 통합을 다룬 논문들이, 사회·문화지리 분야에서는 탈북민, 지명, 금강산 관광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북한에 대한 접근시각은 지역연구와 통일의대상으로 보는 시각이 중첩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통일국토론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한반도를 단일 공간으로 보았던 전통적인 지리학의 시각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통일 이후 남·북한 국토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북한 지역에 대한 역사지리학적인 연구와, 분단의 상징인 DMZ를 대상으로 과거 생활공간에 대한 문헌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